본문 바로가기

미니어쳐

워해머 40,000 9판 블랙 템플러 룰 (1)

시작하기에 앞서

* 워해머 40,000에서 블랙템플러를 사용하는데에 필수적으로 있어야 하는 서적은 다음과 같다.

- 워해머 9판 룰북

- 코덱스: 스페이스마린 (9판, 2020년 10월 발매)

- 인덱스 아스타르테스:블랙 템플러 PDF (링크)

* 아래 서적은 확장팩 개념으로 있으면 아미가 더욱 강력해 질 수 있다.

- 캠페인북: 비질러스 디파이언스 (2018년 겨울 출시, 현재 9판 환경에서 사용 일부 제약)

- 임페리얼 아머 컨펜디움 (2020년 출시, 포지월드 모델 룰 사용가능)


 

코덱스: 스페이스 마린의 아미 중에서도 가장 특색있는 챕터 중의 하나 인 블랙 템플러는 2017년도 코덱스:스페이스 마린 시절부터 다른 코덱스 마린과 마찬가지로 첫번째 코덱스라는 후질구레한 룰로 2년 가까이 고통을 받다, 수 차례의 자잘한 업데이트와 에라타, 개정, 신모델, 캠페인북 등을 거쳐 힘을 모으다 2019년 여름 출시된 코덱스: 스페이스 마린 2권으로 어느 정도 중위권 정도의 파워를 갖추게 되었다. 2021년 현재에는 군해머피셜 티어 2라고 하는데 흠...ㅋ

2019년 여름 발매된 코덱스: 스페이스 마린은 챕터 전용 유닛, 렐릭, 스트라타젬, 워로드트레잇, 미션, 전용독트린에 대해서는 기재되어 있지 않으므로 코덱스의 전반적인 내용은 다음 글에 쓸 것이며, 본 글에서는 인덱스 아스타르테스:블랙템플러에 기재된 블랙 템플러의 룰을 주로 다루도록 한다.


0. 아미 제한

  • 블랙템플러 디태치에는 라이브러리언을 영입할 수 없는 Lost Librarius 룰과, 컴퍼니 챔피언을 챕터 챔피언으로 만들어주는 스트라타젬을 사용 할 수 없다.

딱히 큰 제약은 아니다. 엠퍼러스 챔피언이 있으니까 ^.^

8판시절 코덱스 챕터택틱스이며 9판룰과는 다름.

1. 챕터 택틱스 (코덱스 기재)

블랙 템플러의 챕터 택틱스는 라이처스 질이며, 크게 2가지의 룰로 구성된다.* 

  • 차지/어드밴스 무브 시 차지 롤 2개 모두 리롤: 근접전을 선호한다는 블랙 템플러의 설정에 부합하는 좋은 룰. 딥스트라이크 후 차지할 확률(=9" 차지 확률)을 약 48%까지 만들 수 있는 룰이며 근접유닛의 특성 상 차지가 실패하면 그대로 그 다음 턴에 적 사격을 모두 두들겨 맞아야 한다는 점이 치명적인데 이를 보완해주는 좋은 룰. 9판에서는 어드밴스 리롤도 추가되어 엠퍼러스 윌 스젬과 콤보로 리롤 어드밴스 후 차지하는데 이걸 또 리롤 하는 게 가능. 전체적으로 매우 
  • 모탈운드에 대한 5+++ 필노페인. 사이킥 뿐만이 아니라 모든 상황에서 발생하는 모탈 운드에 대해서 5+로 무시한다는 점은 라이브러리언이 없는 블랙 템플러에게는 좋은 사이킥 방호가 된다. 차량 대폭발 등으로 발생하는 모탈 운드도 방어하기 때문에 의외의 상황에서 의외의 활약을 해주는 좋은 룰.

챕터택틱스는 이제 보병/바이크/드넛 뿐만 아니라 서비터를 제외한 모든 유닛에 적용되므로 라이노 등의 차량을 이용해서 오버워치를 흡수하는 등의 전술에도 효과적으로 적용 할 수 있다. 또 차량에도 기본적으로 타 챕터는 Armour of Contempt 스젬으로 1cp를 소모하거나 그 외 코어유닛에는 채플린 기도를 통해서 모탈에 5+++을 줘야 하는 것을 기본 챕터 택틱스로 탑재하는 것도 좋은 점.

2. 전용 독트린 (슈퍼 독트린)

아미 전체를 블랙 템플러 유닛으로 구성하면 어설트 독트린 발동 시 전용 독트린인 Knights of Sigismund 룰이 추가로 발동 된다.

  • 어설트 독트린이 켜진 상태에서 블랙 템플러 모델이 차지무브를 했거나, 히로익 인터벤션을 한 턴에는 근접전 시 무보정 힛롤 6이 된 공격은 자동으로 운드가 성공한다 (운드롤을 굴리지 않음). 단 차량을 공격할 경우에는 적용되지 않음.

장점: S가 낮아서 운드를 내기 어려운 무기 (체인소드, 파워소드, 상대에 따른 다른 여러가지 etc...)로도 유효타를 낼 수 있는 좋은 룰임. 또 채플린 그리말두스의 특룰이나 비질러스 디태치의 WT, 각종 코덱마 공용 스젬 등등으로 투힛6에 터지는 부가 효과들이 많아서 잘 사용하면 좋은 효과를 볼 수 있다.

단점: 타 챕터 전용 독트린에는 단서조항 따윈 없지만 아무튼 차량 상대로는 발동되지 않는 점이 굉장히 아쉬운데, 차량이야 말로 오토운드 공격이 필요한 타겟이기 때문이다. 또 다른 단점으로는 3턴까지 기다려야 어설트 독트린이 발동된다는 점. 이건 어떻게든 극복이 가능하다. 또 근접전 내내도록이 아닌 차지한턴/히로익한 턴에만 발동되므로 한 방에 모든 적 모델을 전멸시키지 않으면 그 후의 근접전 효율이 '살짝' 떨어진다.

당연히 어설트 독트린 발동중이므로 모든 근접무장+피스톨 무장의 AP가 추가로 1 향상된다. (예; AP 0 → AP-1)

3. 블랙 템플러 전용 유닛

3.1 하이마샬 헬브레히트

일반적인 구마린 캡틴보다 운드, 공격횟수, 아머세이브가 1씩 높으며, 포인트는 어느정도 납득가능한 수치인 155포인트인 블랙템플러의 총 지휘관. 장착하고 있는 콤비멜타는 의외의 상황에서 의외의 활약을 해내며 근접무기인 하이마샬의 검은 안 그래도 높은 헬브레히트의 공격 횟수를 첫근접에만 d3대 추가시켜주는 좋은 룰.

다른 챕터마스터 캐릭터들과 마찬가지로 6인치 내의 코어 유닛/캐릭터에게만 투힛전체리롤을 커맨드페이즈 때 택1해서 부여할 수 있고 그 외의 코어유닛에게만 투힛1리롤을 줘서 8판 시절보다는 투힛리롤 성능이 팍 죽어버렸어... 투힛전체리롤 부여도 자기 커맨드페이즈때 하므로 상대방이 선턴 먹으면 그 선턴 전에는 부여를 못하는것도 좀 아픔. 힘+1 오라도 코어 유닛에게만 부여되므로 캐릭터 무쌍은 아무래도 힘들어짐. 단 블템 전용 캐릭터들 무기에 힘이 대부분 1씩 올라서 크게 체감은 안될수도.

또 워로드트레잇도 Frontline Commander로 6인치 내 블랙 템플러 유닛의 차지롤과 어드밴스롤을 1" 씩 증가시켜주므로 차지에도 아주 큰 도움이 된다. 이거 진짜 도움되는 능력임 ㅇㅇ

단점은 뚜벅이 구마린이라 차량 등을 이용하지 않으면 걸어서 적 유닛한테 까지 가야 하므로 기동성이 많이 떨어진다.

 

 

3.2 엠퍼러스 챔피언

기존에 비해 공격 회수가 1 오르고, 타 챕터의 챕터 챔피언 처럼 Skillful Parry 라는 룰로 근접전 시 상대에게 투힛-1을 강요함에 따라 공격력과 탱킹능력이 약간 더 상승했다. 포인트는 변함없이 80포로 저렴하고, 9판 들어와서 항시 히로익을 걸어야 하는 제약도 사라지고, 거기에 인게이지먼트 레인지에 적 캐릭터가 있으면 언제나 선타치는 룰이 생겨 쓰기 좀 더 편해졌다.

역할은 여전히 80포짜리 대-캐릭터 저격미사일로 적 캐릭터가 인게이지먼트 레인지에 있으면 힘과 공격회수가 오르기고 캐릭터 대상으로 근접시 모든 투힛과 투운드를 리롤하기에 일단 던져만 놓으면 어지간한 캐릭터는 다 박살을 내줄 수 있다. (상대방의 세이브롤이 망해야겠지만 ㅎㅎ;;)

워로드트레잇은 6인치 히로익 인터벤션을 할 수 있는 Oathkeeper.

단점은 헬브레히트와 마찬가지로 구마린 뚜벅이라는 점. T4 W4 Sv 2+ 4++의 맷집이라 큰거 한방 한방은 어느정도 버틸 수 있어도 자잘한 공격 여럿은 막아내기 어려우니 (모든 캡틴급이 마찬가지지만) 주의가 필요하며, 지휘관이면서 다른 모델에 전혀 버프를 주지 않는 점은 단점 아닌 단점. HQ 슬롯이라 안그래도 슬롯 경쟁 심한 HQ라서 추가로 cp 주고 디태치를 불러야 될지 말지를 고민하게됨.

둘은 별도의 유닛이지만 사진이 붙어있어서...

3.3 채플린 그리말두스, 3.4 세노바이트 서비터

채플린 그리말두스는 9판 블랙템플러 캐릭터 중 가장 큰 버프를 받았다고 볼 수 있다.

챕터 지휘부의 고위 채플린인 레클루지아크 이기 때문에 기도를 3가지 알 수 있고 그 중에 한 턴에 2가지 쓸 수 있다. 또 마스터오브생티티는 아니라서 ㅋㅋㅋ;; 아미에 포인트 추고 마스터오브생티티를 또 불러와서 한턴에 기도 4개 쓰기 삽가능. 본인 몸값도 95포라서 비싼편은 아님. 

근접무기도 아티피서 크로지우스로 S+2 AP-2 D2로 강력해졌고, 주변 6인치 코어유닛에 무보정 투힛6에 근접 추가타를 주는 룰은 언제나 훌륭하다.

또 마치 사이커인 것 처럼 사이킥을 디나이 할 수 있어 대 사이킥 대책으로도 좋다.

워로드 트레잇은 Epitome of Piety로 사이킥 디나이를 한번 더 할 수 있고 그 디나이 값에 +1이 된다. 상황에 따라 충분히 추가 WT를 줄 가치가 있다.

스탯은 그대로라서 소설에서의 근접 무쌍을 재현하기엔 A가 3밖에 안돼 약간 부족 하지만 이는 코덱마 공용 기도로 해결 할 수는 있다.

역시 단점은 구마린 뚜벅이라 기동력이 제한된다는 점. 멋모르고 플라즈마 피스톨을 슈퍼차지로 잘못쏘다 즉사시킬 수 있다는 점은 주의. 또 상대적인 단점으로는 커스텀 마스터 오브 생티티가 기도롤을 리롤 할 수 있어서 안정적으로 기도를 성공시킬 수 있는데 그리말두스는 그런 룰이 없다는 점이 있다.


세노바이트 서비터는 여전히 연약한 비-캐릭터 유닛이지만 18 포인트 밖에 되지 않아 크게 부담되지 않는다. 또 그리말두스가 들어있는 디태치에는 슬롯을 차지 하지 않으므로 주의할만한 점.

구판 코덱스에서는 9인치 내 모랄 오토패스라는 좋은 룰을 가지고 있었지만 이제는 주변 6인치 내에 모탈운드에 대해 4+++을 주는 룰로 변화되었다. 크루세이더 스쿼드 등의 대인원 유닛에게 좋았던 모랄오토패스가 없어진 것은 안타깝지만, 모랄오토패스는 코덱마 공용 렐릭 깃발 등으로 대체 가능하고, 모탈운드에 대한 4+++은 상황에 따라 더 유용한 콤보로 쓸 수 있기 때문에 상향으로 판단된다. 사썬이 진짜 싫어할 만한 룰이라구 볼수 있겠네요 ^^ 커가도 ^^

역시 앞서 말했듯이 캐릭터가 아닌 서비터 유닛이라 상대방이 살짝만 건드려줘도 후드득 죽는 점이 단점이고, 3모델짜리 1유닛이라 2명까진 죽어도 버프가 유지되지만 뚜벅이의 단점인 기동성이 매우 낮아 차량 등에 탑승시키려고 해도 3칸이나 잡아먹는 점은 큰 단점이 된다.

3.5 크루세이더 스쿼드

크루세이더 스쿼드는 8판 말의 띠용한 상태에서 이젠 활용가치가 있는 띠용으로 변모했다.

여전히 택티컬 스쿼드와 동일하게 10인을 채워야 1콤비웨폰 1스페셜웨폰 1헤비웨폰을 들수있긴 하지만 (그 10인에 네오파이트가 끼건 말건) 택티컬 스쿼드보다 훨씬 저렴한 이니시에이트 두당 15포, 네오파이트 두당 14포로 현재 모든 마린 트룹 중에서 가장 저렴한 유닛이 되었다. 싼 포인트로 저렴하게 점령지 알박기 하면 이득 아니냐 진자 ; 블클보다 싸다니깐;; 옛날에 포인트 아낀다고 스카웃 트룹 두르던게 이젠 크루세이더 스쿼드로 할 수 있다고 ㅋㅋㅋ ㅎ...ㅎㅎㅎ...시발...

여전히 20마리 풀분대는 좀 애매할 수가 있는게 이젠 컴뱃 어트리션이 생겨서 잘못 모랄테스트 실패했다간 유닛이 숭덩숭덩 나가버리고 블라스트 무기도 풀샷으로 때려맞으니까 쓰기 어려운건 사실이 됨. 또 9판이 맵이 좁아서...어... 암튼...네...

체인소드의 상향도 나름 도움이 되는데 아무튼 인불이 미쳐날뛰는 9판이라도 모든 유닛이 다 인불 두른 건 아니니까 AP-1 상향은 이득이고, 구마린 전체 운드+1 버프로 이젠 프마린과 동일한 맷집이라 운용하기도 나쁘지 않다. 아 물론 그만큼 이제 마린 카운터로 멀티뎀 잔뜩 갖고오기 시작하니깐 유념할부분이긴 하고...

네오파이트는 여전히 페어드 컴배턴트 룰로 이니시에이트만큼 있으면 투힛1리롤이 되기는 하는데... 조건부로 터지는 룰 그거 하나 보고 아머도 낮고 운드도 낮은 애들을 1포밖에 덜주면서 가져올 필요는 솔직히 잘 모르겠다 없는거같다.